mobile background



심리치료 사전  DICTIONARY OF PSYCHOTHERAPY

Obsessive Compulsive and Related Disorders 

강박 및 관련 장애

강박장애란 개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어떤 생각이나 충동이 자꾸 의식에 떠올라 그것에 집착하며 그와 관련된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다양한 부적응적 문제를 말합니다. 


강박장애란?


원하지 않는 생각과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불안장애로 강박장애의 주된 증상은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입니다. 


강박사고는 반복적으로 의식에 침투하는 고통스러운 생각, 충동 또는 심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강박사고는 다양한 주제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면 음란하거나 근친상간적인 생각, 공격적이거나 신성 모독적인 생각, 오염에 대한 생각, 반복적인 의심, 물건을 순서대로 정리하려는 충동입니다. 이러한 생각은 잘 통제되지 않고 반복적으로 의식에 떠올라 매우 고통스럽게 하는데, 따라서 이러한 사고를 없애기 위해 여러 가지 노력으로써 강박행동을 하게 됩니다.


강박행동은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행동을 말합니다. 이러한 강박행동은 씻기, 청소하기, 정돈하기, 확인하기와 같은 외현적인 행동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숫자세기, 기도하기, 속으로 단어 반복하기와 같은 내현적 활동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강박장애 특징


순수한 강박사고형

외현적인 강박행동이 나타나지 않고 내면적인 강박사고만 지는 경우

원치 않은 성적인 생각, 난폭하거나 공격적인 충동 도덕관념과 배치되는 비윤리적인 심상 등과 같은 불편한 생각이 자꾸 떠올라 무기력하게 괴로워하거나 마치 내면적 논쟁을 하듯이 대응하는 경우가 해당


내현적 강박행동형

강박적 사고와 더불어 겉으로 관찰되지 않는 내면적 강박행동만을 지니는 경우

숫자를 세거나, 기도를 하거나 어떤 단어를 반복적으로 외우는 내현적 강박행동을 하며 이는 불편한 강박사고를 없애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경우가 대부분


외현적인 강박행동형

강박사고와 더불어 분명히 겉으로 드러나는 강박행동

더러운 것에 오염되었다는 생각과 더불어 이를 제거하려는 반복적 행동을 나타내는 청결행동 실수나 사고에 대한 의심과 더불어 이를 피하기 위한 확인행동, 무의미하거나 미신적인 동일한 행동을 의식처럼 나타내는 반복행동, 주변의 사물을 질서정연하게 정돈하거나 대칭과 균형을 중시하여 수시로 주변을 재정리하는 정돈행동, 낡고 무가치한 쓸모없는 물건을 버리지 못하고 보아두는 수집행동, 지나치게 꼼꼼하고 세부적인 것에 고도하게 신경을 쓰게 되어 어떤 일을 처리하는 속도를 느리게 만드는 지연행동 등


강박장애 치료


인지적 치료기법

노출 및 반응방지법

사고 중지 기법

역설적 의도를 포함한 자기 주장 훈련

파이기법

이중기준 기법

법정 절차 기법

행동 실험법

마음챙김

수용전념치료


강박 및 관련 장애는?


강박장애

신체변형 장애

저장장애

모발 뽑기 장애

피부 벗기기 장애


강박장애 사례


대학입학을 준비하고 있는 OO는 요즘 공부가 되지 않아 매우 불안합니다. OO의 정리노트는 특별하게 정리가 되어 있어서 시험 직전에는 꼭 빨간색으로 표시가 된 부분을 봐야 하는데, 얼마 전 중간고가 있던 날에 정리노트를 깜박 잊고 집에 놓고 와 볼 수가 없었습니다. 그 결과 중간고사 성적 결과가 좋지 않았고 OO는 자신의 부주의함을 크게 자책하였습니다. 

그런 일이 있은 후, OO는 매일 아침 자신이 학교에서 공부할 책과 노트를 확인하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집을 떠나기 전 뭔가 빠트렸을지 모른다는 불안한 생각에 몇 번씩이나 가방을 확인해야 했고 갈수록 그 횟수가 늘었습니다. 심지어 자기 전에 여려 번 가방을 확인했음에도 때로는 자다가도 일어나 확인하곤 했습니다. 그렇게 애써 확인을 하는데도 계속 무언가 빠져 있다는 불안한 생각을 떨칠 수가 없어 그 행동을 자꾸 반복하게 되었습니다. 

OO는 어느 날 더러워져 안경알을 닦다가 안경알에 흠집이 생긴 걸 발견했습니다. 요즘 눈이 침침하고 통증이 느꼈던 것이 안경의 흠집 때문에 망막에도 흠집이 생겨서 그런 거라는 생각이 들어 불안해졌습니다. 그런 생각에서 벗어나고 싶어 안경알을 바꿨으나 여전히 신경이 쓰여 수업 시간에 집중할 수가 없었으며 공부의 능률이 떨어졌습니다. 

시험이 다가올수록 OO는 점점 더 불안하고 초조해졌으나 가방을 확인하고 안경을 닦는 행동을 멈출 수가 없었습니다. 



[출처]  ‘현대 이상심리학’ 권석만 지음. 학지사

            ‘DSM-5’ APA 지음. 학지사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김청송 지음. 싸이북스


TOP